top of page
제목_없는_아트워크 5.gif
1.png
제목_없는_아트워크 7.png
제목_없는_아트워크 8.png
제목_없는_아트워크 9.png
제목_없는_아트워크 10.png
제목_없는_아트워크 11.png
제목_없는_아트워크 12.png

​A Look Inside Kim cham sae


Park Soon-young (culture and arts planner, aesthetics)



Artist Kim's work comes with a bright, cheerful, colorful, and calm feeling. The picturesque shapes and colors of a rather young child give visual pleasure and bring out pure sensibility. However, looking at the title of the exhibition, "Anxiety and Conflict", I can't erase the idea that it conflicts with these bright images of the artist. Of course, the artist's intention and the viewer's appreciation need not match. However, we will have to look closely at the images she expressed in order to hold the artist's hands.



"Anxiety and Conflict" is a story about the artist himself, and it can be seen as a kind of gesture to meet others by expressing one's inner self. The works of this exhibi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the work that expresses one's inner self, the figures of others looking elsewhere, and the installation work that invites the artist to his room filled with the motif of the work.

When looking at the artist's inner work, which is composed of a rather elegant form, first of all, the artist faces his inner emotions that wriggle while bumping in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he presses the anxiety caused by the other's inner side and tries to gaze clearly at it by himself, then calmly calms the movements of both sides and embodies them as images. Then, he goes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colors, lines, and shapes that match the images he encountered to express his outer surface, that is, the canvas. After that, he eventually draws the images he encountered and distinguished from within so that they fit accurately with his own eyes. The images arranged on the canvas are bright and cheerful, as mentioned earlier, as shapes expressed within the artist, but this stems from the habit of reading a kind of idea or image we have. The red-painted shape that looks like a flower is not actually a flower, but an image that embodies a sharp state of mind that is difficult for the artist to encounter. In this regard, can it be said that it is simply a mismatch between content and form. The harder the artist's emotional state is, the sharper the appearance expressed and the more intense the color becomes, and our heads arbitrarily sharpness becomes a thin line, and the intensity is read as a colorful color. Rather, it can be said that we arbitrarily matched the discrepancy between what we see and what we want to see. In fact, this happens frequently in everyday life. When we face an object, person, or even situation, we habitually generalize it to impressions imprinted on our own experiences. Since there is a tendency to conceptualize and organize experiences or phenomena arbitrarily, even diverse and undefined personalities are systematized and patterned. For example,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normal and abnormal, which is often done. We prematurely attach the word abnormal to people who show other behaviors or behaviors.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can be related to other work groups of the artist.

The artist draws the images of others looking elsewhere. It is a story of a social custom that distinguishes normal from abnormal. Six people in different fashion and appearance have different facial colors, unique hairstyles, and even some have two heads, but they all look elsewhere without fail. They seem to be sitting somewhat upright to take a picture, but they seem to be avoiding because their eyes are not facing the front. The artist says that not everyone is normal. In real life, it is certainly like that, but in the painting, it seems somewhat friendly. Although the artist collects characters she has seen in scribbled or dreams, unlike social prejudice, she had no distinction between abnormalities or normalities in the first place. Come to think of it, their eyes look different. It is not their eyes to look elsewhere. They did not avoid their eyes, but rather, their social gaze was distorted.



In this exhibition, you can see installations based on the artist's room. No, you can experience it. The bedroom is also the source of the work along with the artist's mind. She faces confused emotions under the cozy blanket in a dark room, and she has doubts about this heterogeneous emotional state that occurs at the same time and recommends us to experience it. If the picture transferred to the canvas is an emotion of confusion, the reproduced room can be said to be an expression of warmth. She recreates the emotions she encountered in the bedroom with the sun-dried cotton 'smell', 'darkness' full of night energy, and 'sound' made to match the atmosphere. In the dark room, the inner images she would have encountered at the time are drawn, and we face them one by one while illuminating them with a flashlight. In such a situation, we will experience some anxiety, conflict, and relief, and these encounters will be a kind of aesthetic experience.



The reason why Kim chamsae drew inner emotions where anxiety and conflict were antagonized is 'curious'. She says she drew and recorded it as a non-scientific art out of curiosity about how various invisible emotions affect an individual's life, behavior, and growth. When it comes to the inside, it can be an emotion, a memory, or an unknown unconsciousness. Sometimes you want to think about it, erase it, or you can be angry or happy. It's not something I can reveal, so it ultimately helps, but it is common to cause pain. The artist must have spent a lot of time focusing on herself, struggling, relieving, and refocusing to reveal her unwilling inner self. I think what we should do here is to let go of our prejudices for a while, to empathize with the image itself, and to look inside ourselves and substitute, so that we can have a beautiful encounter while making eye contact with her invitation.

박순영(문화예술기획자, 미학)

 

김참새 작가의 작품은 밝고 경쾌하며 다채롭고도 평온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다소 어린아이의 그림같은 형상과 색채들이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면서 순수한 감성을 끌어낸다. 그런데 <불안과 충돌>이라는 전시의 제목을 보면서 작가의 이 밝은 이미지들과 상충한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물론, 작가의 의도와 보는 이의 감상이 일치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우리는 작가가 내민 손을 맞잡기 위해서 그녀가 표현한 이미지들을 유심히 들여다봐야 할 것이다.

 

<불안과 충돌>전은 작가 자신에 대한 이야기이며, 내면을 표현하여 타인과 만나고자 하는 일종의 몸짓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전시의 작품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자신의 내면을 표현한 작품과 다른 곳을 보고 있는 타인의 형상들, 그리고 작품의 모티브로 가득 찬 작가 자신의 방으로 초대하는 설치 작업으로 이루어져있다. 

다소 단아한 형태로 구성된 작가 내면의 작품을 보면, 우선, 작가는 서로 부딪히면서 꿈틀대는 자기 내면의 감정들을 마주한다. 동시에 다른 한편의 내면이 일으키는 불안감을 누르고 스스로 이를 뚜렷이 응시하기 위해 노력한 다음, 양쪽의 운동을 차분하게 진정시키면서 이미지로 구체화한다. 그런 다음, 자신의 외면, 즉 화폭에 표현해 내기 위해서 마주했던 그 이미지에 걸맞는 색채와 선, 그리고 형상을 찾아가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고 나서야 결국 내면에서 마주하고 구분 지었던 그 이미지들을 자신의 눈으로 보기에 정확히 맞아떨어지도록 그려낸다. 화폭에 정렬된 이미지들은 작가의 내면에서 표출된 형상으로서 앞서 언급했듯 밝고 경쾌하지만 이는 우리가 갖고 있는 일종의 관념이나 이미지를 읽는 습관에서 기인한다. 꽃처럼 보이는 붉게 그려진 형상은 사실 꽃이 아니라 작가가 마주하기 힘든 날카로운 마음의 상태를 구체화한 이미지이다. 이를 두고 단순히 내용과 형식의 불일치라 말할 수 있을까. 작가의 감정상태가 힘들수록 표출된 외형은 날카롭고 색채는 격렬해지는데, 우리의 머리가 임의로 날카로움은 가녀린 선으로, 격렬함은 화려한 색으로 읽은 것이다. 오히려 보이는 것과 보고 싶은 것의 불일치를 우리가 자의적으로 일치시켰다고 말할 수 있다. 실제 이런 일은 일상에서도 빈번하게 일어난다. 우리는 어떤 대상이나 사람, 나아가 상황을 마주할 때, 습관적으로 본인의 경험에서 각인된 인상들로 일반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경험이나 현상을 작위적으로 개념화시켜 정리하는 경향이 있다 보니 다양하고 규정불가능한 인격조차도 체계화하고 패턴화하여 정리한다. 실례로 흔히 행하는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을 들 수 있다. 우리는 다른 행동이나 습성을 보이는 사람에게 비정상이라는 단어를 섣불리 붙인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은 작가의 다른 작업군과도 연관지어 볼 수 있다. 

작가는 다른 곳을 보는 타인의 형상들을 그린다. 이는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사회적인 관습에 대한 이야기이다. 패션과 생김새가 제각기 다른 여섯 명의 군상은 얼굴색도 다르고, 머리스타일도 독특하며, 심지어 누구는 머리가 둘이기까지 한데 어김없이 다들 다른 곳을 본다. 사진을 찍기 위해 다소곳이 앉아 있는 듯 하지만 시선이 정면을 향하지 않으니 마치 회피하는 것처럼 보인다. 작가는 모두가 정상인이 아니라고 말한다. 실제 현실에서는 분명 그렇겠지만 그림에서는 왠지 친근해 보인다. 작가가 끄적거린 낙서나 꿈에서 본 인물들을 모아 놓았다지만 그녀에게는 사회적인 편견과 달리 비정상, 또는 정상의 구분은 애초에 없었다. 그러고 보니, 그들의 시선이 다르게 보인다. 다른 곳을 보는 것은 그들의 시선이 아니다. 그들이 눈을 피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회적인 시선이 빗겨간 것이다.

 

이번 전시에는 작가의 방을 소재로 한 설치작품을 볼 수 있다. 아니 체험할 수 있다. 침실은 작가의 마음과 함께 작품의 원천이기도 하다. 그녀는 어두운 방 포근한 이불 속에서 혼란스러운 감정을 마주하곤 하는데, 동시에 일어나는 이러한 이질적인 감정상태에 의구심을 갖고서 우리에게도 체험하기를 권유한다. 화폭에 옮겨진 그림이 혼란의 감정이라면, 재현된 방은 포근함의 감정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녀는 햇볕에 바싹 마른 코튼 ‘냄새’와 밤의 기운이 가득한 ‘어두움’, 그리고 그 분위기에 걸맞게 제작한 ‘소리’로 침실에서 마주했던 감정을 재현한다. 어두운 방 안에는 그녀가 그 당시 마주했을 내면의 이미지들이 그려져 있고, 우리는 손전등으로 이를 비추며 하나씩 맞닥뜨리게 된다. 그렇게 그녀가 처했던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불안과 충돌, 그리고 해소의 경험을 할 것이고, 이러한 조우는 일종의 미적 체험이 될 것이다.

 

김참새 작가가 불안과 충돌이 반목하는 내면의 감정들을 그리게 된 이유는 ‘호기심’이다. 그녀는 보이지도 않는 다양한 감정이 어떻게 개인의 삶과 행동, 그리고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호기심으로 인해 그림을 그리고 이를 비과학적인 예술로 기록했다고 말한다. 내면이라 하면, 감정일 수도 있고, 기억일 수도 있고, 도무지 알 수 없는 무의식일 수도 있다. 때에 따라 떠올리고 싶거나 지우고 싶기도 하고, 화가 나거나 흐뭇할 수도 있다. 내 맘대로 들추어낼 수 있는 일이 아니라서 궁극에는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고통을 주는 경우도 다반사다. 그렇게 비의지적인 내면을 드러내기 위해 작가는 참으로 많은 시간을 자신에게 집중하고 힘들어하며 해소하고 다시 집중하며 작업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할 일은 선입견을 잠시 내려 놓고 이미지 자체에 공감하는 것, 그리고 나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대입해 보는 것, 서로 닮아가도록 내버려 두는 것, 그렇게 그녀의 초대에 눈을 마주하면서 아름다운 만남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bottom of page